중국 4대 미인- 서시, 왕소군, 초선, 양귀비 [美人列傳]
중국의 4대 미인은 서시(西施), 왕소군(王昭君), 초선(貂蟬), 양옥환(楊玉環)이다. 침어(浸魚), 낙안(落雁), 폐월(閉月), 수화(羞花) 등 미인에 얽힌 이야기를 상식적으로 알아두자. 그런데 절세의 미인이기에 그녀들이 모두 행복한 삶을 살았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중국의 4대 미인은 서시(西施), 왕소군(王昭君), 초선(貂蟬), 양옥환(楊玉環)이다. 침어(浸魚), 낙안(落雁), 폐월(閉月), 수화(羞花) 등 미인에 얽힌 이야기를 상식적으로 알아두자. 그런데 절세의 미인이기에 그녀들이 모두 행복한 삶을 살았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사시이비(似是而非)는 ‘옳은 것 같지만 아니다’는 뜻이다. 겉으로는 비슷하나 속은 완전히 다름을 의미한다. 사시이비(似是而非)는 약어로 흔히 ‘사이비(似而非)’라고 통용된다. 사이비에게 속지 않으려면, 상식이 있어야 한다. 상식이 없으면 사이비에게 당한다.
타면자건(唾面自乾)은 ‘누가 얼굴에 침을 뱉으면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는 말이다. 누군가에게 심한 모욕을 받았을 때 어떻게 참고 인내를 하는가에 따라서 자신의 운명이 결정된다. 이 세상은 시샘하고 시기하는 놈들로 넘쳐 난다는 사실을 알아두는 것도 상식이다.
구맹주산(狗猛酒酸)은 “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어진다”는 뜻이다. 사나운 똥개와도 같은 간신배들이 군주 옆에 딱 붙어 있으니 과연 그 누가 군주를 도와서 큰 일을 도모하겠는가? 이 말을 한비자는 하고 싶었던 것이다.
반구제기(反求諸己) 뜻은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는다’는 것이다. 일이 잘못되면 남을 탓하지 않고 스스로를 돌아본다는 의미다. ‘남을 탓하지 않고 스스로를 고친다’는 뜻을 가진 반구제기(反求諸己)를 우리나라 지도층들은 상식적으로 새겨 보아야 할 것이다.
다른 사람의 약점만 골라서 야박하고 가혹한 행동을 이르는 말이 바로 취모멱자(吹毛覓疵)이다. 취모멱자는 상대방의 허물을 찾아내기 위해서 무슨 짓이라도 한다는 것을 말한다. 지금 우리나라는 ‘취모멱자(吹毛覓疵)의 시대’에 있는 것 같다.
안하무인(眼下無人)은 자기가 최고 이며 자신 외에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처럼 타인을 아주 업신여긴다는 뜻이다. 안하무인과 비슷한 말로는 傍若無人(방약무인), 獨不將軍(독불장군) 등 이 있다. 안하무인의 뜻과 유래를 알아두는 것도 좋은 상식입니다.
결교현량(結交賢良)은 친구를 사귈 때 어질고 착한 사람을 선택하여야 한다는 말이다. 강을 건널 때는 얼음을 조심해야 하고, 득의하려면 모름지기 친구를 얻어야 한다. 친구를 사귈 때 어질고 착한 이가 아니면 애증이 생기는 것을 누가 면할 수 있겠는가.
어두운 구름 밖을 나오면 새롭게 푸른 하늘이 있다. 이러한 말은 당장에 힘든 역경이 닥쳐도 밝은 내일이 있기에 참고 견뎌야 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지금은 힘들어도 내일은 지금 보다 더 나은 날이 될 것이라는 소박한 믿음이 운외창천(雲外蒼天)이기도 합니다.
중국 고대 초(楚)나라의 애국 시인인 굴원(屈原)이 지었다고 전하는〈어부사(漁父辭)〉에 나오는 말이다. 창랑지수(滄浪之水)에 청해(淸兮)면 가이탁오영(可以濯吾纓)하고 탁해(濁兮)면 가이탁오족(可以濯吾足)이라는 구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