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생(前生)의 인연(因緣)에 의해서 이번 생(今生)에서 결국 합당한 결과를 얻는다는 불교용어가 바로 인과응보(因果應報)이다. 세상의 모든 일에 있어 결과는 알고 보면 과거에 그럴만한 합당한 이유가 이미 있었기 때문이다.
인과응보(因果應報)
누군가에게 어떤 일이 주어지는 것은 그 사람에게 그럴만한 합당한 이유가 이미 있었기 때문이다.
因: 원인 인, 果: 결과 과, 應: 응할 응, 報: 갚을 보
인과응보(因果應報) 뜻
인과응보는 쉽게 말해 ‘뿌린대로 거둔다’는 뜻이다. 내가 황당한 짓을 하면 황당한 결과가 오고, 좋은 일을 하면 좋은 결과가 온다는 말이다. 인과응보(因果應報)는 행위의 선악에 대한 결과를 후에 받게 된다는 의미이다. 자신이 저지른 행위에 따른 값을 치른다는 개념을 나타내는 한자성어이다.
인과응보(因果應報) 유래
인과응보(因果應報)는 불교 용어이다. 곡식을 거두기 전에 씨를 뿌려야 하고, 물고기를 잡기 전에 그물을 쳐야 한다. 씨도 뿌리지 않고 그물도 치지 않았는데 어찌 곡식을 거두고 물고기를 잡을 수 있겠는가? 그런데 이렇게 결과에 앞선 자신의 행위는 모두 업(業)이다. 업(業)은 자신의 생(生)에 있어 마주해야 하는 선악(善惡)의 근본적 원인이다. 인과응보는 불교 윤회(輪廻)사상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과보(果報)는 과거에 지은 선악업(善惡業)에 의해 지금 자신이 받고 있는 결과이다. 이숙과(異熟果)와 뜻이 같다. 인과응보라는 말은 대당자은사삼장법사전(大唐慈恩寺三藏法師傳) 등에도 나온다.
행한 대로 대가를 받는다
결과에는 합당한 이유가 있다.
-《대당자은사삼장법사전(大唐慈恩寺三藏法師傳)》
불교적 관점에서 선악(善惡)의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낙고(樂苦)의 결과가 있다고 알려준다. 오늘의 나는 과거의 자신의 행실의 열매이며, 내일 누군가의 씨앗이 된다. 그래서 인과응보(因果應報)는 일은 반드시 바른 곳으로 돌아간다는 사필귀정(事必歸正)과 맥락을 같이 한다.
적선지가 필유여경(積善之家 必有餘慶)
역경(易經)에 적선지가 필유여경(積善之家 必有餘慶), 즉 ‘선(善)을 쌓는 집에는 반드시 남는 경사가 있고, 착하지 못한 일을 쌓은 집안에는 반드시 남는 재앙이 있다.는 말이 있다. 결국은 자신이 행한 대로 그 대가를 받는다는 뜻이다. 선행(善行)에는 좋은 결과가, 악행(惡行)에는 나쁜 결과가 따른다는 아주 간단하면서 심오한 뜻을 담고 있다.
인과응보(因果應報)가 주는 교훈
대한민국에서 2024년을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윤석열이 국회에서 탄핵을 받은 것은 인과응보(因果應報)이다. 인생은 자신의 행위에 따라서 합당한 값을 받는 것이다. 윤석열 본인은 탄핵을 받은 것이 부당하고 합리적이지 않은 결정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대다수 국민의 생각은 다르다. 왜 자신이 탄핵을 받았는지에 대해서 아직도 잘 모른다면 스스로 고민을 더 해봐야 할 것이다.
자기가 만든 새끼줄로 자기 자신을 묶는다는 자승자박(自繩自縛)이란 말도 인과응보와 같다. 또한 자신이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신이 감수한다는 자업자득(自業自得)도 인과응보(因果應報)와 같은 의미이다. 그래서 세상 일은 사필귀정(事必歸正)이라는 말도 있다. 상식이 없으면 자신에게 닥친 일이 자업자득인지도 모른다. 원래 무식하면 자신이 늘 억울하다고만 생각하니 이 또한 상식이 없는 인간의 한계이다.
상식은 권력이다 nBox.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