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입니다. 그래서 스스로 자기 자신을 갈고닦아서 쓸만한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갈고닦는다는 말은 바로 절차탁마(切磋琢摩)입니다.
정말 훌륭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보는 곳에서만 군자행세를 할 게 아니라 혼자 있을 때나 안 보이는 곳에서도 똑같이 행동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게 바로 신독(愼獨)입니다. 신독을 하기 위해서는 절차탁마를 해야 합니다.
절차탁마
돌을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학문이나 기예를 힘써 수양한다는 뜻을 가진 절차탁마에 대해서 그 뜻과 유래를 알아봅니다.
절차탁마, 갈고 닦음
切磋琢摩
切 : 끊을 절 磋 : 찬탄할 차, 갈 차 琢 : 쫄 탁 摩 : 갈 마
절차탁마 뜻
직역하면 톱으로 자르고 줄로 쓸고 끌로 쪼며 숫돌에 간다는 뜻으로 해석합니다.
절차탁마 유래
논형(論衡) 양지(量知)편을 인용하며 절차탁마의 유래를 알아봅니다.
骨曰切, 象曰磋, 玉曰琢, 石曰磨 (골왈절, 상왈차, 옥왈탁, 석왈마)
뼈를 (자르는 것은) ‘절(切)’이라 하고 상아를 (다듬는 것은) ‘차(磋)’라 하고 옥을 (쪼는 것을) ‘탁(切)’이라 하고 돌을 (가는 것을) ‘마(磨)’라 한다.
切磋琢磨 乃成寶器 (절차탁마 내성보기)
절차탁마란 곧 보배로운 그릇을 만드는 것이다.
人之學問知能成就 猶骨象玉切磋琢磨也
(인지학문지능성취 유골상옥절차탁마야)
사람의 학문에 능히 성취가 있으려면
뼈, 상아, 옥과 같이 ‘절차탁마’해야 한다.
논어(論語) 학이(學而)편 공자와 자공의 문답 속에서 ‘절차탁마’ 를 살펴봅니다.
子貢曰 貧而無諂 富而無驕 何如
(자공왈 빈이무첨 부이무교 하여)
자공이 공자에게 여쭙길, 군색하면서도 비굴하지 않고 부유하면서도 오만하지 않은 것은 어떠합니까?
子曰, 何如.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
(자왈 하여 미약빈이락, 부이호예자야)
공자가 대답하길 “옳긴 하나, 가난하면서도 낙을 알고, 부유하면서도 예를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다.”
子貢曰 詩云, 如切如磋 如琢如磨 其斯之謂與.
(자공왈 시운, 여절여차, 여탁여마 기사지위여.)
이에 자공이 말하길 “시경에 <뼈와 상아 다듬은 듯, 구슬과 돌 갈고 간 듯>을 말씀하시는 건지요?”
子曰 賜也 始可與言詩已矣. 告諸往而知來者
(자왈, 사야, 시가여언시이의. 고제왕이지래자.)
공자가 답하길 “자공아, 이제 비로소 너와 시를 이야기 할 수 있겠구나.”
- 시경(詩經) 위풍(衛風) 기오(淇奧)
절차탁마와 유사한 사자성어
自强不息(자강불식) 스스로 힘써 쉬지 않는다.
磨斧作針(마부작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臥薪嘗膽(와신상담) 섶에 누워 쓸개를 맛본다.
螢雪之功(형설지공) 개똥벌레와 눈의 빛으로 공부한다.
走馬加鞭(주마가편) 달리는 말에 채찍을 더한다.
절차탁마(節次托魔)가 아닙니다
사람이 아름다운 것은 그 사람이 입고 있는 옷이나 또는 말의 달콤함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얼마나 스스로를 갈고닦았는지에서부터 알 수 있습니다. 겉으로는 번지르하고 그럴듯하지만 실상은 텅 빈 느낌이 있는 사람을 만나본 적이 있는지요? 사업을 하거나 거래를 하거나, 직장생활을 하거나 처음에 보기와는 달리 사람에 대해 실망을 해본 적은 없는지요? 우리가 다이아몬드를 아름답고 귀한 보석으로 볼 수 있겠지만 실상 다이아몬드 원석은 보잘것없습니다. 아무리 세상에서 멋지고 화려한 보석이라도 원석은 거칠고 보잘것없어 보이는데 이렇게 갈고 닦여지면 이 세상에서 가장 쓸모 있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변합니다. 사람도 그러하지 않을까요?
절차탁마(切磋琢摩)를 절차탁마(節次托魔)로 잘못 알고 있으면 곤란합니다.
‘절차 따위는 마귀에게 맡겼다’ 뭐 이런 식으로 해석하는 세상이 된다면 난감한 세상입니다.
상식은 권력이다
절차탁마 nBox.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