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롱 구멍으로 하늘을 바라다 본다.
좁은 구멍으로 하늘을 보면 과연 얼마만큼 보일까요? 넓고 큰 하늘을 단지 작은 구멍으로 바라다 본다는 것은 결국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식견도 좁다는 것을 뜻 합니다. 좁은 소견으로 세상을 본다는 의미로 비슷한 사자성어로는 井底之蛙(정저지와), 坐井觀天(좌정관천) 등이 있다.
이관규천
以管窺天
써 이, 대롱 관, 엿볼 규, 하늘 천
이관규천 유래
이관규천은 사마천의 사기에 나오는 이야기로 춘추시대 명의(名醫) 편작이 한 말이다.
편작(扁鵲)은 춘추시대 말기 사람으로 동양 의학의 元祖(원조)이자 醫聖(의성)으로도 일컬어지는데, 그가 괵이라는 나라에 갔을 때였다.
마침 병을 앓다가 숨진 태자의 병과 상태를 보고는 편작은 태자를 소생시키겠다고 말했다.
이러한 편작의 말에 궁정 의사는 어이없다고 하자 편작은 탄식을 하며 말했다.
“그대의 의술은 대롱으로 하늘을 엿보고(以管窺天), 좁은 틈새로 무늬를 보는 것(以郄視文)과 같소.”
“당신이 내 말을 정 믿지 못하겠다면 다시 한번 태자를 살펴보시오. 그의 귀가 울고 코가 벌름거리는 소리가
들려올게요. 그리고 양쪽 사타구니를 쓰다듬다가 음부에 손이 닿으면 그곳은 아직 따뜻할 것이오.”
궁중의사는 그 말을 듣고 다시 진찰해본 결과 편작의 말이 옳음을 알았다.
편작이 태자에게 침을 놓고 그를 소생시키고 치료를 계속하자 20일 후에는 병상에서 일어날 수 있었다.
사람들은 편작의 의술에 놀라워하며 그가 죽은 사람도 소생시킬 수 있다고 말하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죽은 사람을 소생시킨 게 아니오. 단지 아직 죽지 않은 사람을 고친 것뿐이오”
– 사기(史記) –
「夫子之為方也,若以管窺天,以郄視文」 (史記列傳 扁鵲倉公列傳 중에서) 이 이야기는 어떤 분야의 전문가의 ‘한계’에 대한 지적으로, 전문가는 저마다 자기의 ‘대롱’으로 세상을 본다는 뜻이다.
세상은 자기가 아는 것 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고, 자신의 좁은 식견으로 다 알 수 없다는 가르침입니다.
사자성언 명언이 많은데, 오늘의 뜻 좋은 사자성어로 이관규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nBox.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