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삼모사의 뜻은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당장의 차이에 신경 쓰지만 결과는 매한가지라는 의미인데, 이것을 모른다는 것을 비하한 말이기도 합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교활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고 놀리는 것을 이르는 말로도 쓰입니다. 잔꾀로 남을 농락하는 것을 말하기도 합니다.
조삼모사
조삼모사,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
[한자 뜻과 음] 朝 : 아침 조, 三 : 석 삼, 暮 : 저녁 모, 四 : 넉 사
조삼모사 유래
송나라(宋) 때의 이야기라 합니다.
저공(猪公)이라는 사람이 원숭이를 좋아해서 여러 마리를 키웠답니다. 따라서 저공(猪公)이 능히 원숭이의 뜻을 알고 원숭이도 또한 저공(猪公)의 마음을 알았다고 합니다. 하루는 저공(猪公)이 집안 식구들의 먹을 것을 줄여서 원숭이의 배를 채워 주었는데 먹을 것이 떨어지는 일이 생겼습니다. 이에 저공은 원숭이들에게 앞으로 그 도토리 먹이를 줄이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여러 원숭이가 저공의 말을 잘 듣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여, 먼저 속여 말했습니다.
‘너희들에게 도토리 먹이를 주되 아침에 세 개를 주고 저녁에 네 개를 주겠으니 좋으냐?’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여러 원숭이가 모두 분노했습니다.
‘아니 아침에 3개이고, 저녁에 4개라니 하면서…’
원숭이는 극도의 화를 냈습니다.
그러자 저공이 다시 말했습니다.
알겠다!
‘너희들에게 도토리를 아침에 네 개를 주고 저녁에 세 개를 주겠으니 좋으냐?’ 했습니다.
그러자 원숭이들은 이 말에 모두 기뻐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는 《열자(列子) 〈황제(黃帝)〉》에 나옵니다.
열자는 이 이야기를 쓴 뒤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합니다.
「사물이 지혜로써 서로를 속이는 것이 다 이와 같다. 성인은 지혜로써 어리석은 군중들을 속이는데, 역시 저공이 지혜로 원숭이들을 속이는 것과 같다. 이름과 실상을 훼손하지 않고 그들을 기쁘게도 하고 노하게도 한다.(物之以能鄙相籠, 皆猶此也. 聖人以智籠群愚, 亦狙公之以智籠衆狙也. 名實不虧亏, 使其喜怒哉.)」
– nBox.com
조삼모사는 결국 같은 결과인데 이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이 이것을 모른다는 우둔함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현대판 조삼모사 재해석
그런데, 세월이 흘러서 이제 사자성어의 명언도 다르게 해석해야 할 듯 합니다.
어쩌면 원숭이가 현명한게 맞는지 모릅니다.
단순하게 총합의 개념으로 먹이를 7개 받는 것이 아니라, 아침에 3개인가? 또는 4개인가?에 따라서 사실은 내용도 다른 것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원숭이가 아침에 힘을 더 내기 위해서는 3개를 먹는 것 보다는 4개를 먹는게 유리할 것입니다. 오늘날 현대인들도 아침에 힘을 더 내고 하루를 부지런히 사는게 좋지, 아침부터 허기지게 부족하게 먹고 다니는 것은 좀 그렇지 않을까요?
내일을 기약할 수 없는 불안한 때, 미리 자신이 받을 것은 많이 받아두는 것이 현명한 처사일 것 같기도 합니다.
나중에 회사가 부도났는데 자신이 정작 받을 것이 없거나 부족하다면 이 또한 난처하기 때문입니다.
미리미리 내가 받을 것은 챙겨 놓는 원숭이의 지혜가 한 수 위일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