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두구육 羊頭狗肉 얼핏 봐서 그럴듯하나 속은 변변하지 않다

이준석 본인이 ‘양머리를 내걸고 개고기를 팔았다’고 해서 최근 인구에 회자되는 말입니다.

비슷한 사자성어로는 표리부동(表裏不同), 권상요목(勸上搖木), 면종복배(面從腹背), 구밀복검(口蜜腹劍), 양봉음위(陽奉陰違) 등이 있습니다.

양두구육

양두구육은 겉으로는 좋아 보이지만 실상 속은 그러하지 않다는 말입니다.


양두구육에 쓰이는 羊은 그 양(Sheep, Lamb)이 아니라 같은 한자를 쓰는 염소(Goat)입니다. 이 염소고기는 삶거나 쪄서 수육으로 만들면 개고기와 식감이 비슷한데, 이렇게 팔면 사람들이 잘 모르고 살 수도 있습니다.

羊頭狗肉 양두구육 유래
양머리를 걸어놓고 개고기를 팔다!

원전으로 전해지는 이야기에는 춘추시대 제나라 때입니다.

제나라  영공(靈公)이 좋아하는 첩이 남장을 하고다니자 이것이 그 시대 유행처럼 번져 나갔습니다. 시대를 막론하고 옛날이나 지금이나 유명인이 뭘 하면 일반 보통사람들이 그것을 따라 하는데 그 때도 예외는 아니었나 봅니다.

이게 유행이 되면서  옷 입은 것만 봐서는 남녀 구분이 모호해져 세상이 이상하게 돌아가는 것 같았습니다. 결국 이러한 복장 풍습이 유행되는게 별로 탐탁치않아 보이자 나라에서는 이렇게 여자가 남장을 하는 것을 금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나라에서는 일반인들에게 남장을 금지하려 했지만 백성들이 말을 듣지 않습니다.

왕이 그 시대 똑똑한 신하인 안영에게 묻습니다.

아니 왜 백성들이 남장을 하지 말라는데도 하는가?

그러나 안영은 궁중 여인에게는 남장을 허용하면서 민간에서는 남장을 못하게 하는 것은 이치가 맞지 않습니다. “대왕께선 궁궐 내의 미인들만 남장을 하도록 하고, 궐 밖 백성들에겐 금지했습니다. 이는 소머리를 문간에 걸어놓고 안에서는 말고기를 파는 것과 같습니다. 어찌하여 백성들에겐 금하면서 궁궐 안에서는 미인들이 남장하는 것을 용인하십니까? 궁중에서 금하면 백성들도 곧 순종하고 따를 것입니다.”


안영은 猶懸牛首于門而賣馬肉于內也 라며 궁중 여인의 남장부터 금지하라고 충고합니다.

그러자 사람들이 남장을 따라하는 풍습이 없어졌는데, 이 양두구육이 여기서부터 유래된 말입니다.

이 일을 두고 공자가 안영을 찬양하기 위해서 안영을 보고 겉(表)과 속(裏)이 같은 사람이라는 말을 했는데 여기에서 고사성어 ‘표리일체’ 가 나옵니다.

원래 이 이야기의 출전은 안자춘추(晏子春秋)인데, 나중에 송나라 시기의 오등회원(五燈會元)에서는 “懸羊頭賣狗肉”으로 쇠고기가 양고기로, 말고기가 개고기로 바뀌게 됩니다. 그래서 지금은 양두구육이라는 말이 일반화 됩니다.

이 사자성어가 압록강을 건너 한반도로 들어와서는 양고기를 개고기로 속여 판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내용은 원래 그렇지 않으나 겉으로 허세를 부리는 사람을 두고 하는 말로 쓰이기도 합니다.

–  해몽 사자성어

이준석이 똑똑하고 공부를 많이했다고는 하지만 지금 양두구육이라는 고사성어를 자신의 불리한 정치적 상황을 면피하고자 쓸 수 있는 말인가?

스스로 한번 고민하고 반성해봐야 할 것입니다. 자신이 개고기를 팔았다고 국민들에게 말하면서 무엇을 얻고자 함인지? 당대표였다는 사람의 입에서 자당의 대통령 후보를 개고기에 빗대는 말은 자신의 정치도덕적 한계를 보인 것입니다.

한마디로 겉과 속이 다르다는 뜻을 양두구육 사자성어 하나로 정리합니다.

nBox.com 고사성어


error: 상식은 권력이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