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통보감(窮通寶鑑) 을목(乙木) 원문 및 해석

궁통보감(窮通寶鑑)에서 을목(乙木)은 오행 중 목(木)의 음(陰) 기운을 지니고 있으며, 생명력과 유연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본다. 같은 목(木)의 기운을 갖고 있지만 갑목(甲木)은 큰 나무(거목))이고, 을목(乙木)은 작은 초목, 화초, 수풀 등을 의미한다.

궁통보감(窮通寶鑑) 을목(乙木) 원문 및 해석

궁통보감
궁통보감

궁통보감(窮通寶鑑)에서 을목(乙木)의 본성

乙木柔而不剛 順勢而生 盤屈曲折 須得陽光之照 不可無金修飾

□ 해석

을목(乙木)은 부드럽고(柔) 단단하지 않으며(不剛), 주변 환경에 순응하여 자라난다(順勢而生). 덩굴처럼 휘어지고 구부러지며(盤屈曲折) 반드시 햇빛(陽光, 丙火)의 비침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너무 무성해지면 쓸모없어지므로, 적절한 금(庚金)으로 다듬어야 한다.

□ 해설

을목(乙木)은 유연하고 부드러우며 환경에 적응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덩굴이나 화초처럼 주변의 지지대가 필요하고, 햇빛(丙火)의 따뜻한 기운이 있어야 잘 자라난다. 그러나 수풀이나 잡목이 너무 무성하면 쓸모가 없기에 적절한 금(庚金)으로 다듬어 줄 필요가 있다. 을목은 환경을 잘 만나야 성장할 수 있는 존재이며, 독립적으로 성장하기보다는 주변의 도움(비견, 정인, 정관 등)을 받아야 합니다.

궁통보감(窮通寶鑑)에서 을목과 계절의 관계

乙木生春 不畏庚金 得火則華美
乙木生夏 火盛則焦 須水潤之
乙木生秋 必須庚金斬削 以成棟樑
乙木生冬 寒水凛冽 須丙火暖之

□ 해석

◌ 을목(乙木)이 봄(春)에 태어나면, 경금(庚金)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불(丙火)을 만나면 꽃이 아름답게 핀다(華美).
◌ 을목(乙木)이 여름(夏)에 태어나면, 불(火)이 강하여 타버리므로 반드시 물(水)로 적셔 주어야 한다(須水潤之).
◌ 을목(乙木)이 가을(秋)에 태어나면, 반드시 경금(庚金)의 다듬음을 받아야 단단한 재목으로 쓸 수 있다.
◌ 을목(乙木)이 겨울(冬)에 태어나면, 차가운 물(水) 때문에 얼어버리므로 반드시 불(丙火)로 따뜻하게 해주어야 한다.

□ 해설

◌ 을목(乙木)은 태어난 계절에 따라 성장의 방식이 크게 달라집니다.
◌ 봄(得時): 갑목처럼 잘 자라며, 불(丙火)을 만나면 꽃이 활짝 핀다.
◌ 여름(火가 강함): 물(水)이 부족하면 말라 죽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수(水) 기운이 필요하다.
◌ 가을(庚金이 강함): 을목은 부드러우므로, 금(庚金)의 단련이 필요하다.
◌ 겨울(寒水이 강함): 차가운 기운을 따뜻한 불(丙火)로 보완해야 한다.
즉, 을목(乙木)은 계절과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나지만, 필요한 기운(자원)이 부족하면 생존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궁통보감(窮通寶鑑)에서 을목의 이상적 조합

乙木喜丙火而生光 逢癸水則柔媚 生於巳午華美 逢申酉則損傷
若逢庚金 斬削過度則傷

□ 해석

◌ 을목(乙木)이 병화(丙火)를 만나면 빛이 나고 아름답고(生光), 계수(癸水)를 만나면 부드러우면서도 매력이 넘친다(柔媚).
◌ 을목(乙木)이 사(巳), 오(午)월에 태어나면 꽃이 활짝 피어 아름답다(華美). 그러나 신(申), 유(酉)월에 태어나면 다치거나 손상된다(損傷).
◌ 을목(乙木)이 경금(庚金)을 만나면 다듬어질 수 있지만, 너무 강하면 손상을 입는다.

□ 해설

◌ 병화(丙火)는 을목이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 계수(癸水)는 부드러운 성질을 더욱 돋보이게 만든다.
◌ 경금(庚金)은 필요하지만, 너무 강하면 오히려 해롭다.
◌ 신금(申金), 유금(酉金)은 가을철의 강한 금(金) 기운으로 을목을 손상시킨다.
◌ 을목(乙木)은 병화(丙火)와 계수(癸水)를 만나면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존재이다.

궁통보감(窮通寶鑑) 을목(乙木)

궁통보감(窮通寶鑑)에서 을목의 성격과 운명적 특성

◌ 을목(乙木)의 장점은 부드럽고 유연하며, 조화로운 성격이다. 또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며, 협력하는 능력이 강하다.
◌ 을목(乙木)은 창의적이고 감성적이며, 예술적 재능이 뛰어나고 인내심이 강하고 꾸준히 성장하는 힘이 있다.

◌ 을목(乙木)의 단점은 주체성이 약하고, 주변 환경에 쉽게 영향을 받고 독립적인 힘이 부족하여 스스로 성장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 을목(乙木)은 지나치게 유연하면 우유부단하거나 결단력이 부족할 수 있다.

궁통보감(窮通寶鑑)에서 운명의 흐름

◌ 을목(乙木)은 병화(丙火)를 만나면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다.
◌ 을목(乙木)은 경금(庚金)을 적절히 만나면 실용적인 능력을 가진다.
◌ 을목(乙木)은 수 기운이 너무 과다하면 뿌리가 썩을 위험이 있다.

궁통보감(窮通寶鑑)에서 을목(乙木)의 핵심 요약

◌ 을목(乙木)은 덩굴과 화초처럼 유연하고 적응력이 뛰어난 성질을 지닌 존재이다.
◌ 을목(乙木)은 환경(햇빛, 물, 지지대 등)을 잘 만나야 성장이 가능하다.
◌ 을목(乙木)은 병화(丙火)와 계수(癸水)를 만나면 최고의 성장과 아름다움을 발휘한다.
◌ 을목(乙木)은 경금(庚金)이 필요하지만, 과하면 손상된다.
◌ 을목(乙木)은 독립적이지 않으며, 협력과 조화 속에서 성장하는 특징이 있다.

궁통보감(窮通寶鑑)에서 해석한 을목(乙木)은 혼자서 강하게 나가는 존재가 아니라, 주변의 기운과의 조화를 통해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존재이다. 을목(乙木)은 부드럽게 자신의 기운과 잘 어울릴 때 최고의 운명을 이룰 수 있다.

상식은 권력이다 nBox.com


error: 상식은 권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