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진치(貪瞋癡) 세 가지 번뇌 – 탐욕(貪慾) 진에(嗔恚) 우치(愚癡)

불교에서 깨달음을 방해하는 가장 큰 것은 바로 중생이 욕심을 부리고, 성을 내고, 어리석은 짓을 하기 때문이라 한다. 어찌 보면 남의 것을 탐 내고 화를 내고 어리석은 짓을 일 삼는 것이 인간의 원초적 욕망이라 할 수 있지만, 불교에서는 이것을 삼독(三毒)이라고 하며 ‘탐진치(貪瞋痴)’라고 한다.

탐진치(貪瞋癡) 세 가지 번뇌 – 탐욕(貪慾) 진에(嗔恚) 우치(愚癡)

불교에서 깨달음의 길에 있어 큰 장애는 3가지 번뇌에 있다. 탐욕(貪慾, lobha), 진에(嗔恚, dosa), 우치(愚癡, moha)가 바로 3가지 번뇌이다. 그리고 이것을 독에 비유하여 삼독(三毒)이라 한다. 간단한 말로 ‘탐진치’라고도 한다. 욕심을 내고 성내면서 어리석다면 결코 깨달음이 없다. 탐진치(貪瞋癡)는 탐욕심(貪欲心), 진에심(瞋恚心), 우치심(愚癡心)에서 비롯된 말이다. 이러한 세 가지 번뇌는 중생을 해롭게 하는 것이 마치 독약과 같다고 하여 삼독(三毒)이라고 부른다.

불교에서 깨달음을 방해하는 가장 큰 것이 중생이 욕심을 부리고, 성을 내고, 어리석은 짓을 하는 것이다. 이것을 삼독(三毒)이라고 하며, ‘탐진치(貪瞋痴)’라고도 한다. 중생이 해탈을 하고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삼독(三毒)을 잘 다스려야 한다.

탐진치(貪瞋癡) 뜻과 의미, 삼독(三毒)

탐(貪) 진(瞋) 치(痴)를 불교에서는 ‘삼독(三毒)’이라 보고 악을 대표하는 3가지 요인이라 한다. 삼독(三毒)은 인간의 본성을 망가뜨리고 해탈과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막는다. 탐진치(貪瞋癡) 는 바로 번뇌(煩惱)이다.

첫째, 탐(貪)은 욕망과 욕심을 뜻한다.

‘탐’은 물질적인 것도 해당되고 정신적인 것도 해당된다. ‘탐’은 만족할 줄 모르고 끝 없는 탐욕을 일삼는다. 탐욕은 탐애(貪愛)라고도 한다. 자기가 원하는 것에 욕심을 내어 집착하는 것도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자신의 일에 너무 집착하는 것도 그렇다. 또한 정도를 넘어서서 욕심을 부리는 것도 ‘탐’이다. 명성과 이익을 지나치게 좋아하는 것 등 무엇인가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 심하게 갈구하는 모든 것이 여기에 속한다. 불교에서는 색욕, 식욕, 물욕, 명예욕, 수면욕 등을 5욕으로 들고 있지만 이것을 구하는 것 자체가 탐욕이 아니라 정도를 지나쳐서 과할 때 탐욕이라고 하는 것이다.

둘째, 진(瞋)은 분노와 화, 증오이다.

‘진’은 발끈하는 성질이 있고 참을성이 결코 없다. 진은 분노이다. 누군가를 미워하고 화를 내는 것이 그것이다. 또한 진에는 스스로의 분노 뿐만 아니라 자신이 아닌 다른 대상에 관한 질투와 시기도 포함된다. 불가에서는 진(瞋)이 깨달음에 있어 가장 큰 장애가 되며 인간이 스스로 이러한 잘못을 아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고 본다.

셋째, 치(痴)는 어리석음을 말한다.

무지(無知)하고 무명(無明)이다. 치(痴)는 세상의 도리나 현상을 알 수 없는 어리석은 마음이다. 치(痴)로 인하여 인간은 사물이나 일을 판단할 수 없다. 그래서 우치 때문에 인간은 고민하고 또한 모든 번뇌을 떠 안게 된다. 왜냐하면, 어리석기 때문이다.

깨달음에 이르는 길

불교를 수행함에 있어 인간이 탐진치 삼독(三毒)을 이기지 못하면 그는 깨달음을 이루지 못한다. 인간이 겪는 모든 고통과 괴로움, 그리고 고뇌와 번민도 알고 보면 모두 무지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무지를 벗어나 지혜를 영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삼독(三毒)에 빠진 중생은 결코 해탈하지 못하고 생사의 윤회의 바퀴를 계속 돈다. 삼독(三毒)은 그래서 고통의 근원이며 괴로움의 원천이다. 불교를 수행함에 있어 반드시 삼독(三毒)을 제거하여야 깨달음을 얻는다. 깨달아야 인간은 윤회의 길에서 벗어날 수 있다.

삼독 다스리는 법

인간이 정신적 각성이 없이 물질적 욕망과 욕심에 빠져서 살다 보면 탐진치에서 벗어 나지 못한다. 그렇게 삼독(三毒)에 빠진 삶은 알고 보면 고통의 나락이며 끝 없는 불행의 근원이다. 그러나 평범한 중생이 탐진치를 이겨내는데 있어서는 진실로 행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삼독(三毒)은 계율과 정, 지혜로 다스려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삼학이다.

삼학 – 삼승학(三勝學)

삼학은 불교에서 깨달음에 이르는 3가지 수행 방법을 뜻한다. 삼학을 삼승학(三勝學)이라고도 한다. 계학(戒學)·정학(定學)·혜학(慧學)의 세 가지를 의미한다. 이를 계()·정()·혜()라고도 한다. 계()·정()·혜()는 수행의 순서를 정해 놓은 것이기도 한데, 계()는 의지, 정()은 감정, 혜()는 지식을 말한다.

세 가지 수행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데 계, 정, 혜가 융합하여 이상적인 마음의 작용을 이루어서 완전한 인격이 형성된다고 본다. 계는 악을 행하지 않고 참선을 하는 계율(戒律)을 뜻한다. 정(定)은 마음을 차분히 하여 정신을 맑게 하여 마음이 산란하지 않게 하는 선정(禪定)을 의미한다. 혜(慧)는 번뇌를 없애고 진리를 얻어가는 지혜를 일컫는다.

첫째 계율(戒律)로써 탐욕을 다스려야 한다.
둘째, 정(定)으로써 진에를 다스린다.
셋째, 혜(慧)로써 어리석음을 다스려야 한다.

삼독은 중생으로 하여금 윤회전생의 고통을 겪게 하는 가장 큰 장애이다. 그런데 알고 보면 이러한 번뇌가 발생한 단초(端初)는 결국 자아에 대한 도착 된 견해와 집착이다. 원래 이 세상에는 내 것이 없다. 그래서 욕심을 부려도 그것은 내 것이 아니다. 자신에게 오는 모든 것을 그냥 그렇게 흘러가게 하라. 자신의 밖에 있는 것은 무상한 것인데 잡으려고 애 쓰지도 마라. 자신의 마음을 비우면 바깥의 사물이나 생각하는 사람이나 모두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밖에 있다.

상식은 권력이다 nBox.com


error: 상식은 권력이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