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갑진년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올해 입춘 날짜는 언제일까요?
2024년 입춘 날짜는 2월 4일입니다. 입춘(立春)은 24절기 가운데 첫 봄을 알려줍니다. 새해가 시작되면서 일 년 동안 대길(大吉)과 다경(多慶)하기를 기원하는 여러가지가 옛날부터 내려오는데 입춘날에 바로 첫 풍속 행사를 가졌다. 이렇게 입춘을 중요시하게 본 것은 우리나라가 전통적인 농경사회라는 점에서 계절의 변화를 중요시 봤다는 것이다.
입춘은 24절기 중 첫째 절기이다. 보통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로 입춘 날짜는 보통 양력 2월 4일 즈음이다. 그러나 3일, 4일, 5일에도 위치할 수 있고, 음력으로 주로 정월에 든다.
입춘날은 실질적으로 새해가 시작되는 것으로 간주하기도 하는데 특히 명리학에서는 해가 바뀌었다고 하여도 입춘날 이전에는 새해로 보지 않는다. 따라서 사주의 기준으로 새해가 시작은 바로 입춘날이 된다.
2024년 입춘
입춘은 새해의 첫째 절기이다. 우리나라는 고대부터 농경의례와 관련된 행사가 많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기복적인 행사로 입춘축(立春祝)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써 붙인다. 우리가 흔히 보는 입춘대길(立春大吉)이 바로 입춘축이다. 입춘(立春)을 시작하면서 한 해의 길운(吉運)을 기원하는 글이다. 또한 경사스런 일이 많이 생기라는 뜻을 가진 건양다경(建陽多慶)도 입춘축으로 많이 쓴다.
입춘축은 언제 붙이는가
입춘일은 당일 입춘이 드는 이른 아침 해가 뜨기 전에 입춘축을 붙이면 효과가 좋다고 한다. 언제라고 딱 정해진 것은 없지만 새벽이 되어서 해가 뜰 시간이면 좋다. 입춘첩(立春帖)이라고도 한다.
입춘날 한 해의 복을 기원을 비는 글을 붙이는 것을 춘축(春祝) 또는 입춘축(立春祝)이라고도 한다. 입춘날이 되면 각 가정에서 대문 앞이나 대문기둥 또는 대들보와 천장 등 사람들이 잘 보이는 곳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서 붙였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입춘축을 붙인다.
입춘축은 효과가 있는가
입춘날에 입춘시에 입춘축을 붙이면 “굿 한 번 하는 것보다 낫다.”는 옛말이 있다. 지방마다 입춘 행사가 조금 다르기도 하다. 전라북도에서는 입춘축 붙이는 것을 “춘련(春聯)붙인다.” 한다. 입춘축을 부착하면 “봉사들이 독경하는 것보다 낫다.”고 한다. 한편 써 붙이지 않고 그냥 글귀를 외워도 좋다고 한다. 전남 구례에서는 입춘축 붙이는 것을 ‘방악(防惡)한다.’ 또는 ‘잡귀야 달아나라.’고 써 붙인다고 한다. 그러니까 새해가 시작되면서 모든 잡귀를 물리치고 좋은 일만 있기를 기원하는 행사이다.
입춘날 행사
입춘날 행사를 열기도 한다. 전래에 따르면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 보리뿌리점(麥根占)이 있다. 이것은 농가에서 입춘날 보리뿌리를 캐어보아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것이다. 만일 보리뿌리가 세 가닥 이상이면 풍년이고, 두 가닥이면 평년이고, 한 가닥이면 흉년이 든다고 봤다.
서울에서는 입춘날 보리뿌리를 보아 뿌리가 많이 돋아나 있으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그리고 보리뿌리가 적게나 있으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 경기도의 시흥이나 여주, 인천에서는 입춘 때 보리뿌리를 캐어 보리의 중간뿌리[中根]가 다섯 뿌리 이상 내렸으면 풍년이 든다 하고, 다섯 뿌리에 차지 못하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보리가 옛날에는 사람들의 주식인만큼 여기에 많은 믿음을 둔 것으로 보인다.
24절기란 무엇인가?
입춘이라는 절기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년 중 24절기의 배치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등으로 나뉘는데 여기서 각 계절을 다시 6등분하여 양력 기준으로 한 달에 두 개의 절기를 배치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절기를 구분한 것은 바로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일조량, 강수량, 기온 등을 보고 농사를 짓는데, 순태음력(純太陰曆)은 다소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태양의 운행을 중요시했다. 이것은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도는 길인 황도(黃道)를 따라 15°씩 돌 때마다 황하 유역의 기상과 동식물의 변화 등을 나타내어 명칭을 붙인 것이다. 이것이 바로 절기라는 것인데 그러한 것을 뜻하는 명칭과 시기는 다음과 같다.
입춘(立春): 2월 4일 또는 5일, 봄의 시작
우수(雨水):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 내리고 싹이 틈
경칩(驚蟄):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춘분(春分):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
청명(晴明): 4월 4일 또는 5일, 봄 농사준비
곡우(穀雨): 4월 20일 또는 21일, 농사비가 내림
입하(立夏):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
소만(小滿): 5월 21일 또는 22일, 본격적인 농사 시작
망종(芒種): 6월 5일 또는 6일, 씨 뿌리기 시작
하지(夏至): 6월 21일 또는 22일,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소서(小暑): 7월 7일 또는 8일, 더위의 시작
대서(大暑): 7월 22일 또는 23일, 더위가 가장 심함
입추(立秋): 8월 7일 또는 8일, 가을의 시작
처서(處暑): 8월 23일 또는 24일, 더위 식고 일교차 큼
백로(白露): 9월 7일 또는 8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
추분(秋分): 9월 23일 또는 24일, 밤이 길어지기 시작
한로(寒露): 10월 8일 또는 9일,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
상강(霜降): 10월 23일 또는 24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입동(立冬): 11월 7일 또는 8일, 겨울 시작
소설(小雪): 11월 22일 또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대설(大雪): 12월 7일 또는 8일, 겨울 큰 눈이 옴
동지(冬至): 12월 21일 또는 22일,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소한(小寒): 1월 5일 또는 6일,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대한(大寒): 1월 20일 또는 21일, 겨울 큰 추위
입춘이 시작되는 때가 바로 진짜 새해
명리학적 관점에서도 입춘이 되어야 새해가 되었다고 봅니다. 입춘의 절기를 믿는 사람도 있고 안 믿는 사람도 있고, 또 사주팔자나 명리를 안 믿는 사람들은 입춘이 뭐 중요하냐고도 할 수 있지만, 우주의 기운과 태양의 전체적인 흐름을 외면하면 세상의 이치를 모르는 것과 같습니다. 세상은 순리대로 흘러가고 우주도 삼라만상(森羅萬象)의 원칙이 있다. 절기는 어리석은 인간이 그나마 자연과 우주의 공간에서 우리가 어디에 서 있는지는 알게 하는 좌표이다.
상식은 권력이다 nBox.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