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대 수명 – 남자 평균 수명, 한국 여자 평균 수명

우리나라 사람들은 평균 얼마나 살까? 궁금하지도 않을 수 있겠지만 그래도 우리나라 평균 기대 수명이라는 통계를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작년부터 대한민국은 노령인구가 노동가능 인구수를 넘어섰다고 하는데 과연 오래 사는 것이 능사일까요?

2023년 태어난 신생아의 평균 수명은 어느 정도일까요? 현재 기준으로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는 가정에서 계산해봤더니 83.5년을 살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22년 기준으로 한국의 남녀 평균 기대수명은 82.7년입니다.

우리나라-남녀기대수명

우리나라 기대 수명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조금씩 매년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970년 기대수명이 62.3년이었고, 198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70년 정도였는데 의료의 기술과 혁신 등으로 기대수명은 80년을 넘게 되었습니다. 다음은 통계청 자료입니다.

우리나라 남자 여자 기대 수명

 19701980199020002010201120122013
전체62.366.171.776.080.280.680.981.4
남자58.761.967.572.376.877.377.678.1
여자65.870.475.979.783.684.084.284.6
출처: 통계청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16

 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
전체81.882.182.482.782.783.383.583.682.7
남자78.679.079.379.779.780.380.580.679.9
여자85.085.285.485.785.786.386.586.685.6
출처: 통계청, 「생명표」* 자료 : 통계청, 「생명표」 2023

점점 늘어나는 우리나라 평균 수명

2020년 우리나라 남자의 기대수명은 80.5년, 여자는 86.5년입니다. 1985년 8.6년으로 크게 벌어지던 격차는 2000년 7.3년, 2010년 6.8년 등 매년 조금씩 줄어들고 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국가들과 비교해보면, 이들 국가의 평균 기대수명은 남자 77.9년, 여자 83.2년입니다. 남자의 기대수명이 가장 긴 국가는 아이슬란드(81.7년), 여자는 일본(87.7년)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는 OECD 평균보다 남자가 2.6년, 여자는 3.3년 더 길게 나타났습니다.

오래 살면 뭐 하나?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우리나라 남자 여자 평균 수명이 점점 늘어가지만 정작 문제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지 못하는 대한민국이라는 것입니다. 나이를 먹어서 늙은 사람들은 많아지지만 결코 이것이 행복지수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오래 살면 뭐 하나요? 인간다운 행복을 보장받지 못하고 오래 사는 것은 돼지가 늙어서 우리 안에 갇혀서 그냥 하늘만 쳐다 보는 꼴입니다.

유병장수(有病長壽)는 행복이 아니다

병든 상태로 오래 산다는 것은 행복이 아니고 불행한 일입니다. 우리나라 평균 기대수명이 갈수록 늘어난다고 하지만 병든 상태로 장수를 하면서 치매와 알츠하이머 각종 질병에 시달리면서 목숨만 부지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장수시대에 걸맞는 노인복지행정 대책이 따라야 하고 국가의 예산도 지원되어야 합니다.

상식은 권력이다 nBox.com


error: 상식은 권력이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