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지내는 방법,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 지내는 순서’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많다. 세대가 빠르게 교체 되면서 그동안 어르신들이 주관하시던 제사를 젊은이들이 지내야 하는데 그 방법을 모를 수 있다. 오늘 <상식은 권력이다>에서 제사 지내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우리나라에서 제사가 성행하게 된 것은 대체적으로 유교를 신봉하기 시작한 이래로 보는 사람들이 많다. 고려 때나 조선 전기까지는 아들과 딸을 구분하지 않고 재산을 공평하게 분배 하였기에, 제사의 주체에 있어서도 남녀차별이 없었다고 한다. 또한 조선 전기까지만 해도 출가외인(出嫁外人)이라는 개념도 없었다고 합니다. 출가외인(出嫁外人)은 아마도 조선초 유교가 강화되면서부터라고 봅니다.

고려말에서 조선초에는 남녀 구별 없이 돌아가면서 제사를 모셨고, 기혼 남성이 돌아가신 아버지 제사를 지내기 위해 시집간 누나의 집을 방문하는 경우도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그러다가 조선 중기에 접어 들면서 소중화(小中華) 의식이 강해지고, 장남이 제사를 지내는 일이 많아졌다고 한다.

제사, 어떻게 지내야 하는가

제사를 지내는 주관자와 참석자는 누군인가에 대해서 이야기가 분분할 수 있다. 집안마다 사정이 달라서 제사에 누가 오고 안 오는가 등 참사를 놓고 싸움이나 분쟁이 많은 경우도 있다. 시대나 사정에 따라서 제사를 모시는 참여자에 대해 오늘날에는 가정의례준칙에 의거하면 된다.

제가(祭家) 및 제주(祭主)와 참사자(參祀者)

고려말에는 가묘(家廟)를 건호하고 공손히 주제 하도록 하는 것이 국령으로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제사를 지내는 제청(祭廳)은 따로 없으며 사당이 있어도 안채의 대청 마루에서 지내며 참사자의 범위는 당내(堂內-同高祖 8촌 이내)였다.

불천위(不遷位)의 경우는 위대한 조상을 모셨다는 명예로 동족의 단합을 굳힐 만큼 또는 종가(宗家)가 내집이라고 동성 동본 친족들은 많은 출입을 한다. 불천위(不遷位)란 ‘옮기지 않는 신위‘라는 뜻으로 사대봉사 원칙과 상관없이 자손만대 제사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일컫는다.

현대판 제사 참여자

오늘날에는 누가 제사를 지내야 하는가는 가정의례준칙에 따르면 된다.

우리나라 가정의례 준칙 제42조를 보면「고인의 장자 또는 장손이 주제(主祭)가 되며, 장자 또는 장손이 없는 경우에는 차자 또는 차손이 제사를 주재한다」고 명시 되어 있다.

상처한 경우에는 남편이 주제가 되며 그의 자손이 없이 상부(喪夫)한 경우에는 아내가 주제가 된다.

제43조 기제의 참사자는 고인의 직계자손과 근친자로 한다. 다만 부득이 참사할 수 없는 직계자손은 자기가 있는 곳에서 묵념으로 추모하는 시간을 갖는다고 하였다.

제사의 순서

전통 제례 순서는 다음과 같다. 보다 제사를 지내는 방법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하단에 있다.

①영신, ②강신, ③참신, ④초헌, ⑤독축, ⑥아헌, ⑦종헌, ⑧첨작, ⑨삽시,정저, ⑩합문, ⑪계문, ⑫헌다, ⑬철시,복반, ⑭사신, ⑮철상, ⑯음복

제사 지내는 방법

제사를 가가례(家家禮)라고 할 정도로 집안마다 제사를 지내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 어떤 집은 제사 음식을 미리 차려두고 절차를 진행한다. 또 다른 집은 차가운 음식은 미리 차리고 후에 뜨거운 음식(국, 고기, 생선, 국, 떡 등)을 내오기도 한다. 밥뚜껑을 여는 시점도 술을 다 올리고 열기도 하고 술을 올리면서 여는 경우도 있다.

여자가 네 번 절하기도 하지만, 남자와 같이 두 번 절하기도 한다. 또는 집안에 따라서 여자가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다. 이외에도 제사에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만일 제사 지내는 방법을 잘 모른다면 가장 좋은 것은 집안의 큰어른에게 여쭤보고 집안 대대로 이어오는 방법에 의하는 것이 좋다. 만일 집안에서 지내는 방법을 모를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표준화 된 방법을 따르면 된다.

제사 지내는 시간

그렇다면 제사를 언제 지내는가?

제사를 지내는데 몇 시에 해야 하는지 궁금할 수 있다. 이것도 요새는 집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기제사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의 첫 새벽(새벽 0시 직후)에 보통 지냈다. 그러나 지금은 그 시간에 제사를 지내면 참석하시는 분들의 어려움이 있어 보통은 기일의 저녁 시간에 지내는 경우가 많다.

제사의 순서

전통적으로 제례를 지내는 순서이다.

영신 > 강신 > 참신 > 초헌 > 독축 > 아헌 > 종헌 > 첨작 >삽시,정저 > 합문 > 계문 > 헌다 > 철시,복반 > 사신 > 철상 > 음복 이렇게 제사 순서를 갖는다.

1) 영신(迎神)

영신은 제사를 모시는 분이 집안으로 들어 오시게 우선 대문을 열어 놓는다. 제상의 뒷쪽(북쪽)에는 병풍을 미리 친다. 그리고 제상 위에 제수를 차례로 진설한다. 지방(紙榜)을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아주 옛날에는 사당이 있는 집은 신주(神主)를 모셔 내오는 의식이 있었으나 지금은 그렇게 하는 집이 없다. 혹시 사당이 마련된 종가집이라면 전통에 따라 그리 할 수 있다.

2) 강신(降神)

제사를 모시는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제주(祭主)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끓고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 그러면 집사(執事)가 제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 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른다. 제주는 두 손으로 잔을 들고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다. 그리고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나누어 붓는다. 제주는 빈 잔을 집사에게 다시 건네 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을 한다. 제사에서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에 계신 신에게 알리는 것이고, 모사에 술을 따르는 것은 땅 아래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3) 참신(參神)

제사에 오신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이다. 모든 참사자는 함께 일제히 두 번 절을 한다. 신주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참신 뒤에 진찬(進饌)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기도 한다. 진찬 때는 주인이 육(肉) 어(魚) 갱(羹)을 올리고, 주부가 면(麵) 편(餠) 메(飯)를 올린다.

4) 초헌(初獻)

제주가 첫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한다. 그리고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붓는다.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후 집사에게 건네 준다. 집사는 그것을 정성껏 받아서 메 그릇과 갱 그릇 사이의 앞쪽에 놓고 제물 위에 젓가락을 올려 놓는다. 이때 제주는 두 번 절을 한다. 잔은 합설인 경우 고위(考位) 앞에 먼저 올리고 다음에 비위(妃位) 앞에 올린다. 집안에 따라서는 술을 올린 뒤 메 그릇의 뚜껑을 열기도 한다.

5) 독축(讀祝)

초헌이 끝나고 참사자가 모두 꿇어 앉으면 축관이 축문을 읽는다. 축관이 없다면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된다. 독축은 엄숙하고 큰 목소리로 천천히 읽는다. 축문을 읽는 것이 끝나면 모두 일어나서 두 번 절을 한다.

6) 아헌(亞獻)

두 번째 술 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가 올린다.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절차는 초헌 때와 같다.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는다. 주부는 네 번 절을 한다.

7) 종헌(終獻)

세번째 술 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와 같이 한다. 잔은 다음 순서로 첨작을 해야 하기에 7부쯤 부어서 올린다.

8) 첨작(添酌)

종헌이 끝나면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는다. 그러면 집사는 술주전자를 들어 종헌 때 7부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 번 첨작을 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9) 삽시정저(颯匙正箸)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 메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메 그릇의 중앙에 꽂는다. 그리고 젓가락을 어적이나 육적 위에 가지런히 놓는다. 숟가락은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삽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을 한다.

※ 유식(侑食): 첨작과 삽시정저의 두 절차를 통틀어 유식이라 하는데, 이는 진지를 권하는 의식이다.

10) 합문(闔門)

참사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기다린다. 대청 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揖)한 자세로 잠시 기다린다. 단칸 방의 경우에는 제자리에 엎드려 몇 분 동안 있다가 일어선다.

11) 계문(啓門)

닫았던 문을 여는 절차이다. 축관이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들어가면 참사자가 따라 들어간다.

12) 헌다(獻茶)

갱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뒤, 메 세 숟가락을 떠서 물에 말아 놓고 저를 고른다. 이때 참사자는 모두 머리를 숙이고 잠시 엎드려 있다가 고개를 든다.

13) 철시복반(撤匙覆飯)

숭늉 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어 제자리에 놓고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14) 사신(辭神)

고인의 영혼을 보내드리는 절차이다. 참사자가 신위 앞에 일제히 두 번 절한 뒤, 지방과 축문을 불 태운다. 지방은 축관이 모셔 내온다. 신주일 때는 사당으로 다시 모셔 간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요새는 지방과 축문을 집에서 불태우기가 힘드니 제사가 모두 종료되고 밖에서 태우는 경우도 있다.

15) 철상(撤上)

제상 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뒤쪽에서부터 차례로 물린다.

16) 음복(飮福)

제사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제수를 나누어 먹는다. 이를 음복이라 한다. 고례에는 준(준)이라 하여 참사자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웃들에게 제사 음식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했다. 음복까지 마치면 제사는 모두 종료 된 것이다.

상식은 권력이다 nBox.com


error: 상식은 권력이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