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이란 과연 진정성 있는 작품인가 또는 사기극인가 하는 큰 화제를 불러온 일이 있었다. 그것은 바로 이탈리아의 현대미술가 마우리치오 카텔란(Maurizio Cattelan)이 2019년 처음 선보인 설치미술 작품 ‘코미디언(Comedian)’이란 작품이다. 이것은 벽에 접착테이프로 바나나 한 개를 붙인 형태로, 세간의 큰 화제를 모았다. 이 작품은 2024년 11월 20일,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약 620만 달러(한화 약 86억 원)에 낙찰되었는데, 보통 사람의 관점에서 본다면 그냥 바나나 아닌가?
벽에 붙인 바나나 – 예술인가? 또는 사기극인가?
벽에 붙인 바나나인 ‘코미디언(Comedian)’은 단순한 재료와 구성으로 예술의 본질과 가치를 재고하게 만드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진정성 있는 논평과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것에 대한 성찰”을 표현하고자 했다고 하지만 사실 쉽게 이해하기는 어렵다. 2024년 11월 20일 뉴욕 경매를 통하여 620만 달러(약 86억7천만원)에 팔렸고, 구매자는 중국 태생의 가상화폐 기업가 저스틴 선(Justin Sun)으로 알려졌다.

이 작품을 낙찰받은 저스틴 선은 이 작품이 “예술, 밈(meme), 가상화폐 커뮤니티의 세계를 연결하는 하나의 문화적 현상”이라며, 미래에 더 많은 생각과 토론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밝혔지만 과연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하는가 궁금합니다.
코미디언, 벽에 붙인 바나나
‘코미디언(Comedian)’은 바나나와 접착테이프, 설치 안내서, 그리고 작가의 서명이 들어간 진품 인증서로 구성되어 있다. 바나나는 시간이 지나면 교체해야 하며, 이는 작품의 일부분으로 간주됩니다. 경매 당시 사용된 바나나는 뉴욕의 한 과일 가판대에서 35센트(약 500원)에 구매한 것이라는데 이 또한 코믹하지 않을 수 없다.
마우리치오 카텔란 작품 ‘코미디언’
2019년엔 1억여 원에 팔려
2024년 11월 경매가는 86억원

이 작품은 2019년 마이애미 아트페어에서 처음 공개되었을 때도 큰 주목을 받았다. 당시 아트페어에서 한 행위예술가가 관람객 수백명이 보는 가운데 바나나를 벽에서 떼내 먹어버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후 서울 리움미술관 등 여러 곳에서 전시가 되는 등 우리나라에서도 화제가 되었은데 관람객 중 한 명이 작품의 바나나를 먹는 퍼포먼스를 선보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렇다면, 예술은 사기극이 아닌가?
바나나 하나가 이렇게 엄청난 가격의 예술품으로 인정받았다고 하지만 이것은 사기극이 아닌가? 그렇다면 예술과 사기극이 무엇이 다른가? 이러한 의문에 도달하게 된다. 이 질문은 예술의 본질과 가치를 깊이 있게 고민하게 만드는 철학적인 주제이기도 하다. 그런데 예술과 사기의 차이는 진정성과 의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예술과 사기를 구분하여 본다면 예술은 인간의 감정, 생각, 또는 사회적 메시지를 표현하는 창작 활동입니다. 반면 사기는 고의적으로 사람을 속여 이익을 취하려는 행위입니다.
‘코미디언’ 이 작품은 사기인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예술작품 ‘코미디언’은 단순한 바나나가 아니라 예술의 가치가 무엇인지 논쟁을 유발하는 장치이다. 이 작품을 보고 “저게 왜 예술이야?”라고 생각하는 순간, 이미 우리는 예술의 정의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이 바로 이 작품의 힘이며, 예술로 인정받는 이유가 된다.
‘예술이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이다.
‘바나나를 작품이라고 우기는 놈이나, 또 그걸 86억원에 산 놈이나’ 다 이상한 놈들이다.
‘나도 오늘 바나나를 접착 테이프로 붙여서 100억 벌었다’

사기라고 보려면 속임수의 요소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 작품은 “이 바나나가 단순한 과일이 아니라 예술이다”라고 솔직하게 주장하며, 이를 산 사람도 그 개념을 이해하고 구매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작품을 구입한 사람은 속임을 당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예술로서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것을 사는 행위 자체를 즐긴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예술과 사기의 경계를 어디에 둘 것인가?
만약 누군가 이와 비슷한 바나나 작품을 만들어 “이것도 86억짜리 예술입니다”라고 주장하며 돈을 벌려 한다면, 그것은 사기에 가까울 것이다. 그러나 코미디언은 현대 예술 시장이 갖고 있는 아이러니와 허상을 스스로 드러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예술의 본질을 되묻는 작품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아이러니하게도 예술계의 사기성을 폭로하는 예술이라고도 할 수 있다.
바나나 한 송이가 예술이 된 까닭은 예술의 본질을 알렸기 때문이다
이 바나나를 보면서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만든 순간부터 이미 예술입니다. 사기는 누군가를 속여 이익을 취하는 것이지만, 이 작품은 오히려 예술 시장의 허구성을 정직하게 보여주는 거울입니다. 그렇기에 ‘코미디언’은 사기 같은 예술이 아니라, 예술의 본질을 드러낸 작품으로 평가를 받는 것이다.
상식은 권력이다 nBox.com